본문 바로가기

기능사/전기기능사

전기기능사 필기실기 난이도 및 합격률

 

안녕하세요,

배울학 블로그지기 배움이입니다. :)

 

전기기능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가장 궁금할 사항이 바로

시험 난이도와 합격률이 아닐까 합니다.

 

두 개를 모두 알아야

앞으로 시험을 어떻게 준비할지 전략을 세울 수 있겠죠?

 

그럼 전기기능사 난이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전기기능사 응시인원

 

 

 

 

 

 

전기기능사 자격증은 응시인원이 매년 성장하는

유망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전기분야가 정년이 없는데다 일자리수가 증가하다보니

지원자가 많아지는 현상이 발생했는데요.

그중에서도 전기분야 첫 시작의 관문이 전기기능사 이다보니,

지난해에는 응시자만 5만명이 넘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2.  전기기능사 시험과목

 

 

전기기능사 합격률을 보기 전에

시험과목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전기기능사는 필기 3과목과 실기 1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실기시험의 경우

주관식이 아닌 '작업형'이라는 점입니다.

 

처음 입문하시는 분이라면 어려움을 느낄 수 있겠지만,

필기와 실기 합격률을 보면 걱정을 더실 수 있습니다.

 

 

 

 

 

3.  전기기능사 합격률

 

 

 

큐넷에서 제공한 전기기능사 합격률을 보면

각 시험별 난이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보시면 작업형인 실기시험의 합격류이

필기시험보다 약 3배정도 더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결국 자격증 취득을 판가름하는 것

" 실기보다는 필기 " 임을

합격률을 통해 유추할 수 있습니다.

 

그럼 필기, 실기의 각 과목별 난이도를 살펴보면서

 한 번에 합격할 수 있는 전략까지!

배움이가 낱낱이 알려드리겠습니다.

 

 

 

 

4.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난이도

 

 

전기기능사 필기는 앞서서 설명드린 것처럼

전기이론 / 전기기기 / 전기설비 3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과목별 난이도를 살펴보겠습니다.

 

 

1) 전기이론

수학적 지식 및 많은 공식암기를 필요로 하는 과목으로

수험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입니다.

 

2) 전기기기

수험생이 고득점을 받기 어려운 과목으로,

이해중심의 반복학습이 필요합니다.

 

3) 전기설비

상대적으로 두 과목에 비해 고득점이 가능한데요.

따라서 필기시험을 한 번에 통과하기 위해서는

전기설비 과목에서 최대한 많은 점수를 받아야 합니다.

 

전기설비는 100% 암기과목이라 어려워하는 분도 계시지만,

계속 문제를 많이 풀다보면 저절로 익혀지는 문제들도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5.  전기기능사 실기시험 난이도

 

 

 

전기기능사 실기시험은 작업형으로,

1가지 작업을 4시간 30분동안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난이도는 그리 어렵지 않지만,

시간부족 또는 예상치못한 실수로 인해 불합격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평소 회로도를 빠르게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고

반복연습으로 시간 내 작업을 마무리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전기기능사 한 번에 합격 전략

 

 

 

30년 경력의 업계최초 기술사 교수진과 함께라면

합격이 쉬워집니다.

 

 

 

군더더기 없는 커리큘럼으로

불필요한 학습내용을 줄여

최단기간 내 전기기능사에 합격할 수 있습니다.

 

 

 

국내 최고의 기술사교수진의 명품강의!

배울학이 여러분의 빠른 전기기능사 합격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