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능사/전기기능사

전기기능사자격증 취득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배울학 블로그지기 배움이입니다.

최근 5년 동안 아래와 같이

전기기능사에 응시하는 수험생분들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취업에 있어서

전기기능사자격증이 도움이 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선택하시는데요.

 

이번에는 전기기능사자격증에 대해

합격률부터 시험의 특징까지

훑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전기기능사자격증 응시 인원을

살펴보고 넘어갈게요.

2014년에 33,443명 응시하다가

2018년에는 28832명이 응시했습니다.

5년 동안 응시인원이

46%나 증가했는데요.

엄청나게 많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전기기능사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

어떤 자격을 갖춰야 하는지 확인해볼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자격 제한이 없습니다.

 

산업기사의 경우 2년의 실무 경력 또는

전문대 졸업(관련학과)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고

기사의 경우 4년의 실무 경력 또는

4년제 졸업(관련학과) 이상의 학력이 필요한데 반해

 

전기기능사자격증의 경우

가장 난이도가 낮은 자격증이나보니

별도의 자격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전기기능사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

위와 같이 필기/실기 시험에 대비해야 합니다.

 

필기의 경우

전기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

이렇게 3과목을 공부하시면 되고

 

실기의 경우 작업형 시험이기 때문에

실제로 도구를 활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작업형 시험은 맨 아래에서

다시 설명드릴게요.

 

 

 

 

다음으로 볼 것은

가장 중요한 전기기능사자격증 합격률입니다.

필기의 경우 25~30%정도의

낮은 합격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국가기술자격증 중 가장 난이도가 낮은

'기능사'임에도 

생각보다 필기 합격률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실기 합격률입니다.

필기 합격률에 비해

실기는 65%~80%정도의

높은 합격률을 기록합니다.

 

필기만 합격하면

실기는 쉽게 합격할 수 있다는 의미겠지요.

 

 

 

 

전기기능사자격증 시험의 특징으로

필기가 CBT라는 것이 있습니다.

 

Computer Based Test인데요.

말 그대로 시험장에서 시험지를 받는 것이 아니라

시험장의 컴퓨터로

시험을 응시하는 것입니다.

 

시험지에 익숙해져 있는 분들은

꼭 CBT 시험에 대비하여

컴퓨터로 어떻게 응시하는지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기기능사자격증의 실기시험은

위와 같이 작업을 직접 해야 하는

작업형 시험입니다.


배울학 전기기능사 인강의 경우

작업형 시험에 대비하여

교수님이 직접 작업하는 것을

위와 같이 촬영해서

수험생의 입장에서 쉽게 따라할 수 있게

강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기기능사자격증에 대해

더 궁금한 것이 있는 분들은

아래의 배너를 클릭해주세요.

 

감사합니다.

 

 

태그